DevOps 라이프사이클의 각 단계를 정리한다.
> 작성일 : 2025-01-05
<1> 기획
사용자 피드백 및 이해관계자 의견을 바탕으로 다음 출시에 포함될 기능(백로그화)을 정의합니다.
<2> 개발
기획 단계에서 작성된 스토리 및 백로그를 기반으로 기능을 개발합니다.
# 테스트 주도개발(TDD), 페어프로그래밍, 코드리뷰와의 결합을 고려합니다.
# 내부 정책에 따라 개발테스트를 수행합니다.
<3> 빌드
개발된 코드를 테스트 가능한 형태로 빌드합니다.
# 이부분은 개발테스트가 완료되고 코드가 배포되면 수행됩니다.
# 코드의 병합, 컴파일, 단위테스트, 패키징이 자동으로 이루어 집니다.
<4> 테스트
개발과 릴리즈 사이에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테스트 합니다.
# 테스트 또한 자동화 되기도 합니다.
# 여러 형태의 테스트에서 특정요소를 수행하도록 발전하였습니다.
- 행위 주도 개발, 단위테스트, 계약테스트, 정적코드스캔, 스모크테스트, 침투테스트, 구성테스트, 카오스테스트, 규정준수테스트, A/B테스트 등
# 더 좋은 품질의 서비스를 위해 꼭 필요한 단계입니다.
<5> 배포
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운영환경으로 프로젝트를 이동합니다.
# 일부 사용자에게 배포한 후 안정성이 확보되면 최종적으로 모든사용자에게 배포하는것이 좋습니다.
<6> 출시
운영의 첫번쨰 단계로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바로 이전의 단계 입니다.
# 더 엄격한 품질 확인이 필요합니다.
<7> 운영
사용자에게 서비스 되는 단계로 모든 단계에서 원활한 상태를 유지합니다.
<8> 모니터
사용자로 부터 피드백을 수집하여 다음릴리즈를 준비합니다.
'Conce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oncept | Auth] 회원인증 플로우 정리 (1) - 회원가입 (SignUp) (0) | 2025.01.10 |
---|---|
[Concept | DevOps] 도입 (0) | 2025.01.06 |
[Concept | DevOps] 정의 (0) | 2025.01.05 |
[Concept | Java] Garbage Collection 종류 (0) | 2025.01.05 |
[Concept | Java] Garbage Collection 구동원리 (0) | 2025.01.05 |